티스토리 뷰
$git init
☞GitHub에 등록할 해당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git bash또는 커맨드창 실행
☞깃 저장소를 초기화하고 초기화한 후에 다른 git명령어를 수행가능
※gitignore추가
☞git에 추가하지 않을 파일 설정
☞git init 했던 디렉토리에서 .gitignore파일 생성 후 해당 파일 내에 추가하지 않을 파일 이름 추가
☞윈도우에서 파일생성시 파일이름을 .gitignore. 로 생성시 .gitignore파일 생성
$git add . (git add <filename>)
☞모든파일을 Staging하는 명령어
☞(특정파일 하나 Staging)
$git status
☞git add된 상태 확인 가능
$git commit -m <설명>
☞github저장소에 push 준비완료
▷GitHub에 저장소 생성
☞저장소 주소 획득( ex)https://github.com/<유저아이디>/<저장소이름>.git )
$git remote add <저장소 접속할 이름(본인이 지정, 보통 origin)> <저장소 주소>
☞local과 github에 있는 저장소 연결
$git push <저장소이름> master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이란 무엇인가? (0) | 2019.12.06 |
---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velocity
- 자바책
- nginx multiple domain
- 일본 만두
- 일본 비비고
- 연산자
- 자바
- 후감소
- 선증가
- 선감소
- 후증가
- 일본 한인마트
- string
- 벨로시티
- StringBuilder
- 일본 장터
- 엔진엑스 멀티도메인 404에러
- 엔진엑스 ssl 멀티도메인 404
- 누가_쏙쏙_바로바로_알려줄사람_어디없나
- VelocityPluginImage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